본문 바로가기

지식,정보

Obsidian으로 Zettelkasten 시작하기 기초 구조 설계

Zettelkasten은 단순한 메모 시스템이 아닙니다.
생각을 연결하고, 사고를 구조화하며, 창의적인 인사이트를 생성하는 지식의 생태계입니다.

그리고 이 철학을 디지털 환경에서 가장 충실히 구현할 수 있는 도구 중 하나가 바로 Obsidian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Zettelkasten 방식으로 Obsidian을 셋업하는 방법과 기초 구조 설계를 단계별로 소개하겠습니다.


 

Obsidian이 Zettelkasten에 적합한 이유

Zettelkasten을 제대로 구축하려면 다음과 같은 기능이 필요합니다.

메모 간 양방향 연결

고유한 식별자를 가진 노트

검색성과 시각화가 뛰어난 인터페이스

Obsidian은 위 기능을 모두 갖춘 로컬 기반 메모 앱입니다.
특히 [[링크]], 백링크, 그래프 뷰는 Zettelkasten의 핵심 원리를 그대로 디지털로 옮겨줍니다.

 

활용 예시

학술 자료 정리 → 키워드 중심으로 연결 구성

창의적 글쓰기 시 서로 다른 주제 연결로 아이디어 확장


 

기본 셋업 - 폴더보다 링크 중심으로

Obsidian은 폴더 정리도 가능하지만, Zettelkasten은 폴더가 아니라 연결이 핵심입니다.
따라서 처음에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00-Inbox: 즉흥적으로 기록하는 메모

10-Literature: 책, 논문, 기사에서 발췌한 정보

20-Permanent: 자기 언어로 재구성된 핵심 노트

99-Templates: 반복 사용되는 템플릿 저장소

 

 활용 팁

폴더는 '생성 위치'에만 사용하고, 핵심은 내부 링크로 흐름 구성하기


 

Zettel 노트 만들기 - 메모 하나 = 생각 하나

Zettelkasten의 핵심은 ‘하나의 노트에 하나의 아이디어’를 담는 것입니다.
Obsidian에서 Zettel 노트를 만들 땐 다음과 같이 작성해보세요.

## 제목: 디지털 집중력 저하
- 요점: 스마트폰 사용이 집중력을 감소시킴
- 출처: 《딥 워크》 by 칼 뉴포트
- 연결: [[주의력]], [[집중의 뇌 과학]], [[디지털 디톡스]]

 

 활용법

글쓰기 전, 키워드 기반으로 아이디어를 Zettel로 쪼개어 정리

독서 후, 핵심 개념을 분리해서 장기 기억화


 

고유 ID 설정 - 날짜 기반 or 숫자 기반

루만은 메모마다 고유 번호를 부여했습니다.
Obsidian에서도 Zettel을 구별하기 위해 다음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20240418-001 디지털 집중력 저하.md (날짜 + 일련번호)

1a2b3c4 메타인지.md (랜덤 or 구조 기반)

 

 활용법

Templater로 자동 ID 생성

'ZK-' 접두사나 ISO 날짜 형식으로 일관된 구조 유지


 

링크드 씽킹 활성화 - 연결이 곧 사고다

노트를 많이 쌓는 것보다 중요한 건 ‘잘 연결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다음과 같습니다.

한 노트에서 [[관련 개념]]을 지속적으로 링크하기

백링크를 통해 내가 무엇을 생각했는지 되짚기

Graph View로 전체 지식 네트워크 시각화하기

 

 활용 팁

주제별 중심 노트를 '허브'처럼 설정하고, 관련 아이디어들을 위성처럼 연결

연결 없는 노트는 주기적으로 검토하여 흐름에 넣기


Zettelkasten in Obsidian: 핵심 구성요소 요약표

구성 요소기능 설명실전 활용 포인트
양방향 링크 [[링크]]를 통해 노트 간 관계 연결 아이디어 간 의미 기반 네트워크 구성
고유 ID Zettel 노트마다 고유한 파일명 또는 ID 부여 날짜+번호 기반 식별자 또는 랜덤 문자열 사용
노트 단위 사고 하나의 노트 = 하나의 개념, 하나의 문맥 글쓰기나 연구 시 핵심 개념 단위로 연결 구조 설계
템플릿 노트 작성을 일정한 구조로 표준화 요약-출처-해석-연결 구성을 반복 사용
폴더 최소화 물리적 분류보다 의미 기반 연결을 우선 Inbox → Permanent Note 흐름 유지
Graph View 노트 간 연결 관계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기능 허브 노트 시각화, 고립된 노트 확인 및 재연결
백링크 탐색 다른 노트에서 현재 노트로 연결된 문맥을 자동 표시 맥락 기반 재사고, 반복적 연결을 통한 사고 심화
플러그인 활용 Templater, Dataview, Calendar 등 기능 확장 지원 템플릿 자동화, 태그/날짜 기반 노트 목록 정리
 
 
 

 

템플릿과 플러그인으로 자동화 시작

반복되는 구조는 템플릿으로 저장해두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예시 템플릿 구조

## 요점  
## 출처  
## 내 생각  
## 연결된 노트

 

추천 플러그인

Templater 템플릿 자동 적용

Calendar Daily Notes 관리

Dataview 조건별 노트 목록 정리

Backlinks in Document 문서 내 링크 관계 바로 확인

 

활용 예시

독서 기록, 논문 정리, 블로그 아이디어에 템플릿 활용해 구조화 자동화


 

Zettelkasten 흐름을 Obsidian에서 어떻게 유지할까?

Obsidian에서 Zettelkasten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기록 이상의 루틴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습니다.

매일 1~2개의 새로운 Permanent 노트를 추가

이전 노트와 연결이 되지 않은 메모는 수시로 확인

특정 주제별 '허브 노트'를 만들어 개념 중심화

 

 활용 루틴 예시

아침, Daily Notes로 아이디어 기록

저녁, Zettel로 요약 정리 후 기존 개념과 연결

주말, 그래프 뷰 정리 & 고립된 노트 재구성

이렇게 하면 Obsidian은 단순한 기록장이 아닌, 지속적으로 살아 움직이는 지식 저장소가 됩니다.


 

Obsidian + 태그 기반 분류 전략

Zettelkasten은 기본적으로 연결 기반이지만, 태그 시스템을 함께 활용하면 정보 접근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다음과 같습니다.

#철학, #심리학, #생산성 등 주제별 태그를 추가해 관련 노트를 쉽게 필터링

Dataview 플러그인과 결합하면 조건별 목록 자동 정리 가능

 

 활용 팁

#기초개념, #아이디어, #실행가능처럼 개념의 성격에 따라 태그를 부여하면 사고의 흐름을 유형별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처음부터 완벽할 필요는 없습니다.
핵심은 “아이디어를 모으고, 자기 생각으로 재해석하고, 연결하는 과정”을 습관화하는 데 있습니다.

Obsidian은 이 과정을 가장 유연하게 지원해주는 툴입니다.
작은 메모 하나가 큰 인사이트로 자라나는 경험, 지금 바로 시작해보세요.

 

Obsidian으로 Zettelkasten 시작하기: 기초 구조 설계
<Obsidian으로 Zettelkasten 시작하기: 기초 구조 설계>